Layer7 과제

수업 요약

kms0204 2022. 6. 8. 11:52

하드웨어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

그중에서 cpu, hdd, ram, power에 대해서 살펴 보았다.

cpu는 컴퓨터의 뇌와 같은 부품으로 연산장치, 제어장치, 레지스터로 나뉜다.

연산장치는 산술연산 논리연산 비교연산을 수행한다.

 

연산에 사용할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데이터 레지스터와 빼기를 구현하기 위한 보수기,

두 데이털르 받아 덧셈 연산을 하는 회로인 가산기, 연산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누산기(AC), 산술 연산 결과값이

레지스터의 용량보다 커서 저장할 수 없을 때 에러를 발생시키는 오버플로우 검출기와 마지막으로 연산 중에 자리 올림, 오버플로우, 양숭, 음수, 0 등의 결과값의 상태(연산을 할때 존재할 수 있는 모든 상태)를 표시해주는 상태 레지스터로 구성된다.

 

레지스터는 명령을 차례대로 줄 세우는 장치라고 볼 수 있다. 기억공간이 작지만 속도가 빠르다. 어떤 명령을 수행할지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장치이다. cpu가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나 명령을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레지스터는 다음으로 나뉜다.

명령어 계수기(PC): 다음에 실행하게 될 명령어의 주기적 장치 내 주소를 기억한다.

주소 레지스터(MAR); 주기억 장치에 명령이나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주소를 보관한다.

버퍼 레지스터(MBR): 명령어 계수기가 지정하는 주기억 장치의 내용을 임시로 보관한다.

명령어 레지스터(IR): 현재 수행 중인 명령 코드를 보존한다.

 

hdd는 보조기억장치로 비휘발성 기억장치이다.

자성체를(자성을 띄도록) 원판형 알루미늄 디스크를 회전시키면서 데이터를 읽고 쓴다.

R/W HEAD가 자성을 이용해서 플래터에 닿지 않고 데이터를 읽고 쓰며 기술의 발전으로 점점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성능이 올라갔다.

 

ram은 주기억장치로 휘발성 기억장치이다. 

크기가 1bit인 셀이라는 기본 단위에 0,1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셀이 모인 것을 페이지(4kbytes)라고 하고, 페이지가 모인 것을 블록(128K~1M)라고 한다.

동적램과 정적램으로 나뉘는데 데이터를 유지를 위해서 추가적인 조취가 필요한지에 따라서 나뉘어진 것이다.

동적램은 콘덴서로 구성되었고 정적램은 플립플롭으로 구성되었다. 동적램이 콘덴서를 사용하므로 데이터의 유지를

위해 refresh신호를 주기적으로 보내야하므로 더 느리다. 대신 더 싸고 용량도 더 크다.

 

power는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 일반적으로 공급되는 전기의 형태인 교류를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직류로 바꿔서 공급한다. 컴퓨터 구성장치들은 민감하므로 잘못된 파워를 사용했을 경우에 컴퓨터가 망가질 수 있다.

(요즘은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안전장치와 같은 조취를 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