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언어/파이썬

변수와 출력함수

kms0204 2023. 4. 4. 09:41

<Intro>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수학과 과학에 기초한다.

다시 말해, 공학은 자연과학에 기초한다는 뜻이다.

컴퓨터는 어떠한 양적인 것을 더하고 빼는 등의 연산을 처리하는 장치라는 말이다.

 

많은 사람들이 '컴퓨터', '코딩' 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아래와 같은 이미지를 떠올리곤 한다.

 

0과 1

 

조금 난해하긴 하지만, 사실 이것이 코딩의 본질이다.

 

컴퓨터는 0과 1을, 즉 어떤 양적인 것을 더하거나 빼면서(사실 모든 연산은 일련의 복잡한 사칙연산이므로)

프로그래머가 원하는 결과를 출력하는 기계장치이다.(이를 기계적으로 구현한 것이다)

 

따라서 그 외의 것은 할 수 없다.

 

예를 들어서, '인간의 감정'과 같은 것은 다룰 수 없다.(함수가 아닌 것)

 

 

따라서 가장 처음에 다루는 것이 변수와 출력함수이다.

 

아픙로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될 것이고, 이것이 프로그래밍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앞서 조금은 난해한 이야기를 한 것은,

비록 분량은 얼마 안되더라도 이를 절대로 쉽게 생각하고 넘어가지 말라고 강조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출력함수> - print()

 

print 함수는 어떤 데이터를 출력하는 함수이다.

 

print 함수를 사용할 때는 print(데이터)의 형태로 사용한다.

 

여러 데이터를 출력할 때는, 콤마(,)로 나열한다.

 

print 함수 안에는 꼭 데이터만 들어가야 되는 것은 아니다. 

사칙연산도 들어갈 수 있다.

ex) print(1 + 1), print(2 // 3)

 

print(10)
print(10+20)

 


<기본적인 사칙연산>

  1. 더하기 : +
  2. 빼기 : -
  3. 곱하기 : *
  4. 나누기 : / (0으로 나누면 안됨)
  5. 나눗셈의 몫 구하기 : //
  6. 나눗셈의 나머지 구하기 : %


<변수> - 저장공간

변수는 말 그대로 '변하는 수'이다.

 

조금 더 정확히 말하자면, 컴퓨터의 저장공간 상에 임의로 어떤 공간을 잡고,

그곳에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데이터를 집어넣는 것이다.

(즉, 메모리 공간 어딘가에 값을 저장하고, 그곳에 이름을 붙이는 것이다)

 

쉽게 데이터를 저장하는 '상자'라고 생각해도 좋다.

 

 

주의할 점은,

C언어를 비롯한 대부분의 언어에서는, 변수는 특정한 형식을 가진 값을 저장하는 공간이지만

파이썬에서는 조금 다르다는 것이다.

 

프로그래밍에서는 그 형식을 자료형(data type)이라고 부르는데,

파이썬에서는 자동으로 추론하기 때문에, C언어와 달리 자료형으로부터 조금 더 자유롭다.

(예를 들어 C언어에서는 숫자를 담는 변수를 만들었다면, 그 변수에는 숫자만 담아야한다)

(파이썬이 자료형식에서 비교적 자유롭다 할지라도, 자료형을 몰라도 된다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변수는 다음 3가지 요소로 생성된다.(선언된다)

  1. 자료형
  2. 변수명
  3. 변숫값

변수의 이름을 변수명이라고 하고, 변수의 값을 변숫값이라고 한다.

 

변수는 변수로 초기화할 수 있으며, 자료형이 같은 것끼리는 연산도 가능하다.

 

자료형에는 숫자-정수, 실수-, 문자열, 리스트 등의 자료형이 있다.

(int, float, str, list 등등)

 

변수명과 변숫값은 프로그래머 마음대로 설정할 수 있지만,

변수명을 정할 때는 몇가지 규칙과 변숫값을 정할 때는 자료형에 맞게 할당해야된다.


 

a = 10
b = 20

위에서 a, b는 변수명이고 각각 변숫값은 10, 20이다.

 

물론 이렇게도 표현하지만,

보통은 "a라는 변수가 선언되었고 10으로 초기화되었고, b라는 변수가 선언되었고 20으로 초기화 되었어." 라고 표현한다.

기존에 없던 새로운 변수를 생성하면 "변수를 선언했다."라고 말하고,

새로 생성된 변수에 처음값을 입력하는 과정을 "변수를 초기화했다."라고 말한다.


a = "Hello"		#문자열 자료형. 문자열은 ",'를 쌍을 맞추어 감싸서 표현한다.
b = "World"
c = "10"
d = 10
e = b

result = a+b
print(a,b,c,d,e,result)

a, b, c의 자료형은 문자열이고, d의 자료형은 정수이다.

변수는 변수로 초기화될 수 있기 때문에 e에는 b의 값이 들어가있다.

따라서 e의 자료형도 문자열이다.

 

같은 자료형끼리는 연산이 가능한데, 숫자끼리의 사칙연산 뿐만 아니라 문자열을 붙이는(결합하는) + 연산도 포함된다.

파이썬에서는 +기호로 문자열 사이를 연결할 수 있으며, 위 경우 HelloWorld가 된다.

따라서 e에는 HelloWorld라는 문자열이 들어가 있는 것이다.

 

앞서 배웠던 출력함수를 이용해서 변수를 출력할 수 있다.

print()안에 a,b,c,d,e,result를 콤마로 연결해서 넣으면 된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행결과